만 19세 이상 39세 이하 청년이라면, 그리고 아래 지원대상에 해당된다면 지금 당장, 서울청년포털에서 자격 조건을 확인하고 신청하자. 서울특별시가 이사비와 중개보수를 지원하고 있다. 서울시 청년이라면 주목! 이사비와 중개보수를 최대 40만 원까지 지원받는 정보를 살펴보자
집은 구했는데, 이사비에 중개보수까지? 그 순간부터 통장은 "응급실 가야 할 듯"한 상태. 도대체 왜 집 한 번 옮기는데 카드값은 3달을 넘게 따라오는 걸까? 서울시가 이걸 알았는지, 우리 청춘들을 위해 "이사비+중개보수 지원 패키지"를 꺼내 들었다.
들어는 봤지만 아직 신청 안 했다면? 지금이 기회다. "청년 맞춤형 주거비 리셋 버튼" 누르러 가볼까?
우선, 이건 무조건 알아야 할 ‘사업 개요’
사업명: 2025년 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사업
신청기간: 2025년 4월 1일(화) 10:00 ~ 4월 14일(월) 18:00
지원대상 인원: 총 10,000명 (상반기 6,000명 / 하반기 4,000명)
지원금액: 최대 40만 원, 생애 단 한 번!
지원방식: 실비 정산 후 개인 계좌 입금
지원내용: 부동산 중개보수비 또는 이사비, 개별 항목으로도 신청 가능!
가장 먼저 당신은 해당되는가?
간단하다. 다음 체크리스트에 "YES"를 외치면 당신은 신청 가능자!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의 청춘 ( (1985.1.1. ~ 2006.12.31. 출생자)
2023.1.1. 이후 서울시로 전입했거나 전입신고까지 완료한 경우
본인(임차인) 명의로 전·월세 계약했음( (세대주여야 할 필요는 없음. 동거인 OK!)
거래금액 2억 원 이하 (보증금 + 월세×100), 단, 5천만 원 미만은 월세 ×70으로 계산!
소득은 가구 건강보험료 고지금액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피부양자라도 부양자 기준으로 판단 (생각보다 여유로움)
※ 자가소유자, 가족이 대신 계약한 경우는... 안타깝지만 PASS.
도대체 뭘 얼마나 주는 건데?
최대 40만 원! 준다. 말이 쉽지, 청년들한테는 가뭄 속 단비 같은 금액이다.
항목 | 최대 지원금 | 조건 |
---|---|---|
중개보수비 | 최대 40만 원 | 실비 정산, 영수증 필요 |
이사비용 | 최대 40만 원 | 용달, 포장이사 등, 영수증 필요 |
※ 중개비 + 이사비 동시 지원 가능, 하지만 총액은 40만 원 넘을 수 없음을 꼭 인지하세요.
실비 정산이라 증빙 자료는 꼭 챙겨야 한다. 영수증 분실은 곧 눈물이다.
중개 보수는 : 부동산 수수료, 영수증 필수!
이사비용은 : 용달, 포장이사비 등 실제 쓴 비용 증빙
어떻게 신청하냐고? 간단하다!
Step 1. 온라인 신청 사이트로 go go. 청년 몽땅 정보통이라고 서울청년포털 접속한다. https://youth.seoul.go.kr/index.do
신청서를 작성 제출 한다
Step 2. 서류를 준비한다.(pdf로)
전·월세 계약서 (본인 명의!)
주민등록등본
이사비/중개보수 영수증
건강보험 자격확인서 & 납부확인서
이사비·중개보수 영수증
Step 3. 기다린다.
심사하고 결과 통보! 보통 30일 안에 연락 온다.
Step 4. 입금 완료
지원금이 짜잔~하고 계좌로 들어온다. (※ 본인 명의 계좌여야 함!)
이런 분은 아쉽지만 제외여요.
- '22.1.1. 이후 이미 타 기관에서 이사비 또는 중개비 지원받은 분
- 부모 소유 주택에 세 들어 사는 경우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중 생계‧의료‧주거급여 수급자
- 사업 목적과 다르게 신청한 경우 (예: 투기 목적? OUT!)
2024년 대비 선정기준이 바뀌었다고 함.
1순위 – 사회적 약자 및 주거취약청년
- 장애인
- 자립준비청년(보호종료아동)
- 한부모 가족
- 북한이탈주민
- 다문화가정
- 청소년 부모
- 가족 돌봄 청년
- 전세사기피해자
- 국가보훈대상자
2순위 – 반지하, 옥탑방, 고시원 거주 청년
3순위 – 소득 낮은 순서대로 쭉쭉!
청년들이여, 돈 아끼자! (진심)
서울시가 이 정책 만든 이유는 분명하다.
이사 한 번 했다고 통장 탈탈 털리는 현실 속에서,
"그래도 너네, 한번 살아보자!"라는 따뜻한 의지.
그리고 그게 진짜로, 우리한테 필요하거든.
집 바꾸고 멘털까지 흔들릴 때, 이 제도는 나의 주거 회복 탄력성을 살려주는 복덩이.
'생활정보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정용 VR 치매치료 플랫폼 비교: 가격, 설치법, 후기까지 한눈에! (1) | 2025.04.01 |
---|---|
가상현실(VR)로 기억을 되살리다: 치매 치료 실제 사례 분석 (0) | 2025.03.30 |
2025 프랜차이즈 커피 가격 인상 vs 더 비싸진 만큼 혜택도 늘었을까? ( 스타벅스, 폴바셋,이디야 외) (1) | 2025.03.30 |
집에서 쉽게 만드는 파로곡물 요리 레시피 BEST 3 | 건강하고 간편한 조리방법 ! (1) | 2025.03.30 |
금 가격 전망과 투자 전략: 10년간 흐름과 국내외 최신 트렌드 (1) | 2025.03.22 |